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법의학 당황시키는 ‘시신 부패’… 해결 열쇠는 파리?

死因 파악 어려워… ‘파리 유충’으로 사망 시간 추정도

부패된 상태에서 시신이 발견될 경우, 정확한 사인이나 사망 시간을 파악하는 데 어려움이 따른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가정집에서 부패된 상태의 시신이 발견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최근 국민적 공분을 사고 있는 ‘구미 여아 사망 사건’을 비롯해, 이웃집 신고 또는 밀린 관리비를 받기 위해 방문한 집에서 부패된 시신을 발견·신고하는 사건이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다.

시신을 부패된 상태에서 발견할 경우 가장 큰 문제는 정확한 사인이나 사망시간을 파악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시간이 많이 지나 부패 정도가 심하면 부검 자체가 어려울 수도 있다. 전문가들은 기술이 발전했다고 해도 부패된 시인의 사인이나 사망시간 파악은 여전히 쉽지 않은 일이라고 입을 모은다.

◇분석 발전했지만… 여전히 사인 파악 어려워
부패된 시신의 사인은 어떻게 찾아야 할까. 결론부터 말하면 ‘어떻게 찾느냐’보다 ‘찾을 수 있느냐’를 따지는 게 맞을 수 있다. 그만큼 여러 방법을 동원해도 사인을 찾는 게 쉽지 않다는 의미다. 사망 약 6개월 후 발견된 것으로 추정되는 구미 여아 또한 시신 부패 상태가 심해 경찰에서도 정확한 사망 원인을 파악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고려대의대 법의학교실 박성환 교수는 “사인 미상의 시신은 부검을 통해 사망 전 어떤 것들을 먹었는지, 타살 흔적은 없는지 확인해야 하는데, 부패됐을 경우 이 같은 작업이 매우 제한된다”며 “부패 정도가 심할수록 사인 파악을 위한 정보가 제한돼, 잔존한 부분에서 최대한 사인을 찾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분석 기술이 과거보다 발전했음에도 부패된 시신의 사인을 파악하는 것은 여전히 어려운 일이다. 시체 강직이 사라지고 사망 당시 체온, 온도 등을 알 수 없는 상태에서 시신을 발견하다 보니, 사망 시간을 추정하는 것도 쉽지 않다. 박 교수는 “알코올 분석 등 성분 분석 기술이 발전하긴 했지만, 아직까지 부패된 시신의 사인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을 만큼 획기적으로 기술이 발전한 것은 아니다”며 “다만 부패 정도를 수치화하거나, 시체 속 곤충을 분석해 사망시간을 추정하는 등의 기법은 과거보다 발전됐다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많은 법의학 전문가들은 부패된 시신의 사망시간을 추정하는 데 법곤충학을 활용하고 있다. 일반 가정집에 시신이 방치될 경우, 보통 1~2시간 이내, 늦어도 24시간 내에 파리가 들어와 알을 낳게 되는데, 이때 시신 속 파리 유충의 나이를 토대로 사망 시간을 분석하는 것이다. 과거 고(故) 유병언 전 세모그룹 회장의 시신에서 채취한 파리, 유충과 최종 행적 등을 분석해 사망시간을 추정한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당시 법의학자들이 예상한 사망시간이 경찰이 조사한 유 전 회장의 최종 행적이 나타난 기간과 맞물리며 사망시간을 추정할 수 있었다.

◇부패 속도, 사망 당시 내·외부 요인에 의해 결정
시신의 부패 속도는 사망 전 체온, 기저 질환, 식사 상태 등과 외부 온도·습도 등 여러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발견된 시신의 부패 정도만으로 정확한 사망 시간과 사인을 파악하기 어려운 것 역시 이 때문이다. 박성환 교수는 “부패는 세균이 시체를 구성하는 영양물질을 분해하는 과정”이라며 “상온이나 온도가 높은 여름철에 더 빨리 진행되고, 겨울철 난방이 안 되는 곳에서 사망할 경우 천천히 진행된다”고 말했다. 이어 “사망 전 감염성 질환을 앓아 이미 세균이 퍼져 있는 경우, 고열 증상이 있었던 경우, 몸에 물기가 없고 마른 사람인 경우, 외상으로 인해 출혈이 많은 경우 등에도 부패가 빠르게 진행된다”고 덧붙였다.

부패 순서 역시 이 같은 요인에 의해 차이를 보일 수 있지만 대부분 배부터 부패가 시작된다. 장내 세균이 증식하면 장과 복벽이 닿는 부위가 변색되며, 이후 부패세균이 혈관을 타고 전신으로 퍼져 피부와 가까운 곳부터 변색되는 양상을 보인다. 이때 혈관이 파열되면 혈관 속 내용물이 주변 조직에 스며들면서 피부 전체에 변색이 일어나게 된다.

◇부패 시신 최대한 빨리 발견해야… 악취·구더기·연락두절 등 의심
부패된 상태에서 시신을 발견할 경우 여러 가지 문제가 될 수 있다. 사인을 파악하기 어려운 것은 물론, 타살이 의심되는 상황에서 결정적인 범행 단서를 놓칠 가능성도 있다. 유족이 받을 정신적인 충격도 무시할 수 없다. 부패가 상당히 진행된 상태에서 시신을 본다면 유족에게 장기간 트라우마로 남을 수 있다.

부패된 시신을 조금이라도 빨리 발견하기 위해서는 주변의 관심이 절실하다. 시신이 부패되고 있음을 의심할 수 있는 대표적인 증거는 ‘냄새’다. 부패 시신은 부패되면서 발생하는 화학물질과 부패 정도에 따라 여러 가지 냄새를 발생시킨다. 냄새가 다양한 만큼 특정 향을 단정할 수는 없지만, 부패된 시신을 발견한 이들은 대부분 암모니아, 변, 식초 등이 섞인 심한 악취가 났다고 증언한다. 이 같은 냄새와 함께 집 문이나 창문 틈으로 구더기, 파리 등이 나온다면 시신 부패를 의심해볼 필요가 있다. 이밖에 홀로 지내는 사람이 관리비, 월세 등이 장기간 밀린 경우, 연락이 한참 동안 끊긴 경우에도 집에서 악취가 난다면 한 번씩 확인하도록 한다. 박성환 교수는 “이전보다 혼자 사는 사람이 많아지면서 부패된 시신을 발견하는 사례도 늘어났다”며 “노인이 아니더라도 젊은 사람이 급사해 부패한 상태에서 발견되는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