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구(白球)와 함께 한 60년'은 이용일(李容一)전 한국야구위원회 사무총장의 야구 일대기다. 이 전 총장은 한국 프로야구 탄생의 산파역이었을 뿐만 아니라 이후 9년간 사무총장으로 재직하며 프로야구의 기반을 닦은 행정가였다.
그는 또 '역전의 명수' 군산상고 야구부를 창설한 군산 야구의 대부로서 고교야구 전국 평준화의 기틀도 마련했다. 그의 회고를 통해 한국 프로야구 출범에 얽힌 비화(話)와 해방 이후 한국 야구의 성장 이면사 등을 들여다본다
"저 좀 만나주실 수 있겠습니까?"
1981년 9월 초. 당시 청와대 교육문화수석비서관 이상주 박사로부터 연락이 왔다. 이호헌씨와 함께 셋이서 한번 만나자는 제의였다. 훗날 한국프로야구위원회(창립총회 직후 한국야구위원회로 개명) 초대 사무차장이 된 이호헌씨는 당시 방송에서 야구해설을 하고 있었다.
한달전 쯤 이호헌씨의 부탁을 받고 내가 만든 A4용지 18쪽 분량의 '한국 프로야구 창립계획서'가 청와대에 전달된 직후였으므로 그와 관련한 얘기를 하자는 것이로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서울 신라호텔에서 셋이 모였다.
"이선배, 저 애먹었습니다. 아무래도 좀 수정을 해주셔야겠습니다."
"이선배, 저 애먹었습니다. 아무래도 좀 수정을 해주셔야겠습니다."
"그게 무슨 말씀이십니까?" 나로서는 당황할 수밖에 없었다. 프로야구 창립계획서는 20일간 꼬박 밤을 새워 만든 나의 야심작이었다. 그처럼 심혈을 기울여 만든 계획서를 고위층에서 부정적으로 본다면 프로야구 출범이 시작부터 난항에 부닥칠 가능성이 크다는 뜻이 아닌가.
"그렇지 않아도 정부에서는 영.호남의 지역감정 때문에 골치가 아픕니다. 그런데 계획서를 보면 지역 연고지를 중심으로 한 6개 구단 리그가 계획돼 있습니다. 이 경우 영.호남은 물론 다른 곳의 지역감정까지 부추길 게 아닙니까. 다른 부분은 다 좋습니다. 그러나 지역연고제 만큼은 좀 수정해 주셔야겠습니다."
정부 측에서 프로야구 창설을 적극적으로 추진한 것도 궁극적으로 국민 전체를 하나로 묶을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 주자는 취지였다. 그런데 내가 계획한 지역연고제라는 시스템이 지역감정을 더 심화시킬 것이라는 선입관을 준 것이었다. 나는 곧바로 이수석을 설득하기 시작했다.
"제가 제시한 지역연고제는 지역감정을 심화시키는 게 아니라 향토애를 고취시키고 애국심을 높여줄 것입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국민소득 2천달러밖에 안되는 국가에서 프로 스포츠를 운영하려면 '인기'라는 무형의 가치를 등에 업고 나가야 합니다. 국내에서 가장 인기있는 고교야구를 발판으로 해야 한다는 겁니다. 각 지방의 고교출신 스타들이 한데 모인 팀을 만들어야 지역사회의 인기를 모을 수 있습니다."
이상주 수석은 내 설명을 듣고는 잠시 생각에 잠겼다. 그리고는 "알겠습니다. 다시 검토해보고 연락드리겠습니다"라며 자리에서 일어섰다.
초조하게 기다리는 가운데 약 한달이 흘렀다. 10월 초순 이수석에게서 다시 연락이 왔다. 이수석은 "계획서대로 추진하십시다"라고 짧게 말했다.
내가 "네?"라고 되묻자 그는 "계획서에 있는대로 프로야구단을 운영할 대기업을 직접 접촉하시란 말입니다"라고 답했다. 나는 속으로 '이제 됐구나'싶었다. 신라호텔에서의 3인회의가 본격적인 프로야구 출범의 계기가 된 셈이다.
카테고리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