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수능 한국사 정리 출처: 오르비

1. 선사시대 및 고대

구석기 - 뗀석기, 주먹도끼, 사냥 및 채집

신석기 - 간석기, 빗살무늬 토기, 가락바퀴, 움집, 농경시작

청동기 - 비파형 동검, 농경 및 목축 확대, 일부지역 벼농사, 고인돌

고구려 : 5부족 연맹. 국내성 천도, 서옥제, 고분벽화 별자리

- 태조 : 옥저 정복

- 미천왕 : 낙랑군 축출

- 소수림왕 : 태학 설립, 율령 반포

- 광개토 대왕 : 만주 정복

- 장수왕 : 남진정책(평양 천도)

백제 : 22담로, 백제 금동 대향로

- 문주왕 : 웅진(공주) 천도

- 성왕 : 사비 천도

신라 : 화랑도, 나 당 전쟁 - 삼국 통일, 첨성대

통일 신라 : 집사부, 시중 강화, 상수리 제도(지방 견제), 6두품, 관료전 지급 및 녹읍

폐지, 정전 지급, 독서 삼품과, 무구정광대다리니경, 불국사 3층 석탑, 장보고 청해진

설립

발해 : 대조영 건국, 독자적 연호, 해동성국, 3성 6부, 5경 15부 62주, 고구려 계승, 주자감 설치(교육)

2. 고려시대

태조 : 북진 정책(서경 중시), 훈요 10조

광종 : 노비안검법, 과거제, 황제 칭호 및 독자적 연호

성조 : 최승로 시무 28조, 12목 설치, 지방관 파견, 향리 제도

중앙 통치 조직 : 2성 6부(중서문하성-문하시중, 상서성-6부), 중추원, 삼사, 도병마

사, 식목도감

지방 행정 조직 : 5도(일반), 양계(군사)

거란 침입 - 1차 : 서희 담판외교, 3차 - 강감찬 귀주대첩 -> 천리장성 축조

여진 관계

- 별무반 창설(윤관), 동북 9성 설치, 금과의 군신관계(이자겸 등 문벌귀족세력 등장)

문벌귀족 사회 : 공음전, 음서제도, 이자겸의 난

서경 천도 운동(묘청) : 김부식(관군세력)이 진압

무신정권(이의방, 정중부) : 중방을 중심으로 권력 행사

- 원인 : 무신 차별대우

최씨 무신정권 : 최충헌 - 교정도감 설치, 최우 - 삼별초 설치

몽골 항쟁 : 강화도 천도, 처인성 전투(김윤후, 살리타 사망), 충주성 전투(하충민), 최

씨정권 몰락, 개경 환도, 삼별초 항쟁, 황룡사 9층 목탑, 초조대장경 등 소실 + 팔만

대장경 제작

원 내정간섭 : 2성 6부 -> 1부 4사, 쌍성총관부 등 소실, 정동행성(내정 간섭기구),

다루가치 파견, 공녀요구, 권문세족 성장

공민왕 : 전민변정도감 설치, 친원 숙청, 정동행성 이문소 폐지, 쌍성총관부 공격 및

영토회복, 신진사대부 성장

농업 : 2년 3작, 고려 말 일부 모내기법, 농상집요, 화폐 : 건원중보, 삼한통보, 해동통보, 은병

상업 : 벽란도 - 아라비아 상인과 교류(코리아)

기타 용어 : 혜민국, 삼국사기(김부식, 전기), 삼국유사(후기)

3-1. 조선시대 초기

태종 : 6조 직계제, 호패법, 혼일강리역대국지도 제작

세종 : 집현전 설치, 4군 6진 개척, 전분 6등법, 연분 9등법, 훈민정음 창제, 농사직

설 간행, 칠정산 편찬, 앙부일구, 자격루, 측우기 제작

세조 : 6조 직계제 부활, 직전법 실시

성종 : 경국대전 편찬

광해군 : 대동법 실시, 중립 외교

임진왜란 - 정유재란 : 이순신

정묘호란 - 배경 : 광해군 축출, 인종 즉위, 친명배금 -> 후금 자극

병자호란 : 삼전도의 굴욕, 청과 군신관계 성립

왜 : 안용복 - 울릉도, 독도 조선영토 확인

3-2 조선시대 후기

비변사 : 여진족 및 왜의 침입 대비 임시기구 -> 임진왜란 후 국정 총괄 -> 왕권약

화 의정부, 6조 기능 약화

군사제도 : 5군영(중앙), 속오군(지방)

기타 제도 및 내용

- 영정법 : 토지 1결 당 쌀 4~6두 - 대동법(광해군) : 공납 - 토지 결수에 따라(1결당 12두), 무명, 베 등으로 징수 ->

농민부담 하락

-균역법 : 농민에게 군포 1필 징수

농민 봉기 : 홍경래의 난(평안도 차별), 임술 농민 봉기(지배층의 수탈 심화)

모내기법 확산, 전국적 유통망, 보부상 활발, 상평통보, 신분제 동요 - 서얼 등용 확

대(영, 정조),

동학(인내천 사상) : 최제우 창시

흥선대원군 : 통상 수교 거부 정책, 비변사 축소, 경복궁 재건, 호포제 실시(양반도 군

포 징수), 서원 철폐

고종 : 강화도 조약 체결

병인양요 : 양현수 부대(정족산성), 한성근 부대(문수산성), 외규장각 약탈

오페르트의 남연군 묘 도굴 사건 : 실패, 흥선대원군 통상거부의사 강화

신미양요 : 미국 제네럴 셔먼호, 강원도 침공, 어재연 부대 항전, 척화비 건립

강화도 조약(1976) : 운요호 사건이 원인, 조선 자주국 규정, 영사재판권(치외법권) 인

정, 불평등 조약

조미 수호통상 조약(1882) : 미국 최혜국 대우, 영사재판권(치외법권) 인정

임오군란(1882) : 구식군인 차별, 구식군인 + 도시빈민 봉기 -> 흥선대원군 재집권, 별기군 폐지, 5군영 부활 -> 조청 상민 수륙 무역 장정 체결(청- 영사재판권 인정, 개항장 외 내륙 통상 시작)

갑신정변 : 3일천하, 박영효, 김옥균 등

텐진 조약 : 청, 일 양국 군대 동시철수, 조선 파병 시 양국에 통보

동학 농민 봉기 : 반봉건, 반외세, 잔여병력 = 항일운동 참여

- 제 2차 봉기 : 조선이 청, 일에 철군 요구 -> 일본군 경복궁 기습 및 점령 -> 청일

전쟁 발발 -> 동학 농민군 재봉기 -> 공주 우금치 전투 -> 패배

갑오개혁 - 1차 : 신분제 철폐, - 2차 : 군국기무처 폐지, 홍범 14조 반포

- 3차 : 시모노세키 조약, 을미사변, 단발령, 아관파천 후 중단

독립협회 : 독립신문 창간, 강연 및 토론회 민중계몽, 만민공동회

한일 의정서 : 일본의 조선 군사 요충지 사용권 확보

제 1차 한일 협약 : 메카타 파견 -> 대한제국 외교 및 재정 간섭

가쓰라 테프트 밀약 : 미국 - 필리핀, 일본 - 조선 식민지 인정

포스머츠 조약 : 일본 - 한국 독점지배권, 러일 전쟁 종결

을사늑약 : 대한 제국 외교권 강탈, 통감부 설치 -> 고종의 헤이그 특사 파견 -> 나

철의 5적 암살 시도, 안중근 이토히로부미 사살 등의 항거

한일 신협약 : 대한제국 군대 강제해산

한국 병합 조약 : 국권 강탈, 조선 총독부 설치

조청 상민 수륙 무역 장정 : 청 상인 특권, 영사 재판권 보장

조일 통상 장정 : 일본 최혜국 대우

화폐 정리사업 : 일본인 재정 고문 메가타 주도

동양 주식회사 설립 : 일본의 토지 약탈

을사의병 : 신돌석, 최익현

애국 단체

- 신민회(안창호, 양기탁) : 무장 독립전쟁 준비, 오산 학교, 대성 학교 설립, 민족산

업 육성, 국외 독립운동기지 건설, 105인 사건으로 와해

4. 일제 식민 통치

무단 통치(1910년 대) : 헌병경찰, 헌병의 즉결 처분권 행사, 조선 태형령, 교원의 제

복 및 칼 착용, 토지 조사 사업(1910), 회사령(1910)

문화 통치(1920년 대) : 3,1 운동 이후, 산미 증식 계획, 회사령 폐지

민족 말살 통치(1930년 대) : 황국 신민화 정책(내선일체, 황국 신민 서사 암송, 개명

강요), 징병제, 위안부 강제동원

민족 운동

- 대한 광복회(박상진) : 군대식, 친일파 처단, 독립전쟁 계획

- 3,1 운동 : 배경 = 2, 8 독립선언, 중국의 5,4 운동에 영향

- 대한민국 임시정부 : 초대 대통령 이승만, 독립 공채 발행, 독립 신문 발간

- 6. 10 만세 운동 : 순종 장례일에 맞춰 대규모 만세시위, 신간회 창설 계기

-신간회 : 6, 10 운동 이후 창설, 정우회 선언 계기, 광주 학생 항일 운동 지원

- 광주 학생 항일 운동 : 발단 : 일본 학생의 한국인 여학생 희롱, 3,1 운동 이후 최

대의 규모

-근우회 : 신간회 자매 단체, 여성 계몽활동

- 조선어 연구회 : 가갸날 제정 잡지 ‘한글’ 발행

- 조선어 학회 : 한글 맞춤법 통일안, 표준어 제정, 조선어 학회 사건으로 해체

독립 전투 - 봉오동 전투 : 대한 독립군(홍범도) 등

- 청산리 대첩 : 북로 군정서(김좌진), 대한 독립군(홍범도) 등

의열 투쟁 -의열단 : 김원봉 중심, 김상옥, 나석주 등 폭탄 투척 의거, 무장투쟁 준비, 조선 혁

명 간부학교 설립, 민족 혁명당 결성

- 한인 애국단 : 김구 결성, 이봉창, 윤봉길 의사 등, 중국의 적극적 지원 계기

- 한국 독립당 : 김구, 지청천 등

국제 사회

- 카이로 회담 : 한국 독립 최초 결의

- 포츠담 회담 : 한국 독립 재확인

5. 대한민국

5, 10 총선거 : 최초의 보통선거

제헌 헌법 공포 : 삼권 분립, 대통령 중심제

제헌 국회 : 반민족 행위 처벌법 제정, 반민족 행위 특별조사 위원회 설립, 농지 개혁

법 재정

6, 25 전쟁 : 1950년 북한의 기습(남침)

이승만 정부 : 경향신문 폐간, 진보세력 탄압

4, 19 혁명 : 3, 15 부정선거 규탄 -> 이승만 하야

5, 16 군사정변 : 박정희 중심,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추진, 한일 국교 정상화, 유신

체제(국회 해산, 대통령 중임 조항 삭제)

박정희 정부 : 7,4 남북 공동 성명

5, 18 민주화 운동 : 계엄군의 시민군 무력 제압

6월 민주 항쟁 :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발생 -> 시위 확산 -> 5년 단임 대통령 직선

제 확립

김영삼 정부 : 금융 실명제, 외환위기 초래

김대중 정부 : 햇볕 정책, 제 1차 남북 정상 회담, 6, 15 남북 공동선언

노무현 정부 : 제 2차 남북 정상 회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