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캐'로 메타버스 행성을 오가며 돈 버는 크리에이터의 등장
![](https://blog.kakaocdn.net/dn/A2GDq/btrrVZOZtql/UumKsuupsnfHtAFzeYmAQk/img.jpg)
“이 행성(메타버스 플랫폼)에서는 작가로 살고 다른 행성에서는 게임 제작자로 사는 거죠. 지구에서는 백수이지만 다른 행성에서는 명성이 높은 사람이 된 나의 아바타가 돈을 벌고 있으니 즐겁게 살 수 있어요. 다양한 자아를 발현할 수 있는 장이 마련된 거예요.”
가면이라는 뜻을 가진 라틴어 ‘페르소나(persona)’에 다양하다는 의미의 ‘멀티(multi)’를 붙여 만든 ‘멀티 페르소나’는 한 사람이 여러 개의 가면을 바꿔쓰듯 상황에 따라 다양한 정체성을 갖는 것을 뜻한다. 현실에서 ‘본캐’(본래 캐릭터)로 살아간다면 메타버스 공간에선 자신의 본업과 성격을 변주해 ‘부캐’(부가 캐릭터)로 변신하는 것이다.
아바타는 더 이상 가상 세계의 가상 존재가 아니다. 내가 인격을 부여한 아바타가 사회생활을 하며 돈을 벌어 현실의 나를 먹여 살린다. 미국 메타버스 플랫폼 ‘로블록스’에서 활동하는 16세 소년 애먼 런저는 친구와 감옥 탈출 게임을 구현해 억대 수익을 창출했다. 국내 네이버Z ‘제페토’에서 아바타 의상을 만드는 크리에이터 ‘렌지’는 월 평균 1500만원 정도의 수익을 낸다.
지난해 4월 문을 연 제페토 스튜디오에서 아바타 의상 등의 아이템을 만드는 크리에이터는 6만명(2020년 5월)에서 현재 70만명으로 급증했다. 이들이 판매한 아이템 개수는 2500만 개(누적 수치).
인형 리페인터(채색을 통해 인형에게 새로운 표정과 얼굴을 그려주는 일)로 일하던 이소담씨는 제페토 크리에이터가 된 지 3개월 차다. 하던 일과 다른 분야이지만, 인형 옷과 게임 캐릭터 옷이 비슷한 점이 많아 4개월간 3D 모델링 수업을 듣고 도전했다고 한다. “제페토에서 제공하는 템플릿 외에 나만의 디자인을 하려면 3D모델링을 할 수 있어야 하거든요.” 샘플 의상을 고르고 2D 이미지를 등록하면 누구나 3D 아이템을 창작해 판매할 수 있다. 1세대 크리에이터인 렌지는 “유튜브도 수익 창출이라는 서비스가 없었다면 이렇게까지 커지지 않았을 것”이라며 “제페토도 마찬가지로 수익 창출 사례가 알려지면서 새로운 유저들이 많이 들어오고 있다”고 말했다.
![](https://blog.kakaocdn.net/dn/ccmNEx/btrr0jk2xYc/XXVptYKHKzdGvCoVvl01c1/img.jpg)
팔로워 31만 명의 계정을 운영 중인 렌지는 제페토에서 접속하면 친구와 만나서 이야기를 하는 평범한 생활이 불가능하다. 이미 이 세계에서는 너무 유명한 인플루언서이기 때문이다. “제페토 크리에이터는 제페토 안에서 아바타로 활동하는데 게임 안에서 유명해지다 보니 월드에 입장하면 유저들과 대화하고 사진 찍느라 정신이 없어요. 월드에서 친구들과 노는 것이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메타버스 비긴즈>의 저자이자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이승환 팀장은 “메타버스는 가상과 현실 간 경계의 소멸”이라고 말한다. 예전에도 가상과 가상 생활이 존재했지만 그 경계는 분명했다. 현실에서 열심히 일해 게임 속에 들어가 아이템을 사는 식으로 가상은 소비를 하는 공간이었다. 하지만 지금은 가상 안에 새로운 직업이 생기고, 가상에서 일하고 돈을 벌을 번다. 그리고 그 돈으로 가상에서 다시 사용하거나 현실의 화폐로 환전해 사용할 수 있다.
이소담씨도 가상과 현실의 경계가 모호하다고 느낀다고 말한다. “제페토에서 나의 아바타가 나랑 안 닮았다고 하더라고 아바타에 이입해 채팅하고 소통하는 주체는 저예요. 소셜미디어도 나의 일상을 가공해서 보여주긴 하지만 그것 또한 나의 일상이 맞는 것처럼요. 인형 리페인터인 ‘나’는 현실이고 제페토의 ‘나’는 가상인가? 그 경계가 와닿지 않아요.”
이승환 팀장은 과거 게임 속 아바타가 소비 중심으로 성장했다면 현재 메타버스 속 아바타는 수익을 낸다는 것이 차이점이라고 말한다.
“소비로 키운 게임 아바타는 어느 순간 만랩을 찍으면 흥미가 사라져요. 다른 게임을 찾죠. 전형적인 이런 소비 구조는 아바타에 정체성을 잠깐 몰입할 수는 있는데 지속되기가 어렵습니다. 하지만 나에게 수익을 가져다주는 메타버스 아바타는 소중한 존재죠. 사람들과 소통하고 나를 대신해 주는 또 다른 자아인 데다가 생산까지 하는 구조니까 나와 동일하는 정체성이 더 강하게 부여될 수밖에 없죠.”
지하철 대신 네트워크를 타고 출근합니다
“‘교통’이 아니라 ‘네트워크’를 통해 출근하는 사람들은 더 많아질 겁니다. 꼭 IT 기업이 아니더라도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메타버스 근무가 늘어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MS)를 비롯해 글로벌 기업들이 사무실을 대신할 메타버스에 투자를 늘리고 있다. 페이스북은 5년 안에 모든 직원이 영구적으로 재택근무를 할 수 있는 ‘메타버스 기업’이 되겠다고 선언했다. 가상 커뮤니티 서비스인 ‘호라이즌 워크룸’, 가상현실(VR) 기기만 갖추면 언제 어디서든 일할 수 있는 ‘인피니트 오피스’도 마련했다.
![](https://blog.kakaocdn.net/dn/w2Jqu/btrrWAapCVF/OrSrhwdt4sAHQ3hCntQdi0/img.jpg)
서울 강남역사거리 근처 직방이 실제 사용했던 건물 모습(좌). 메타폴리스 속 직방 사옥 모습(우)
![](https://blog.kakaocdn.net/dn/bBB2XC/btrrYRbrktW/kaC6ed9zUsZj718wKdswBK/img.jpg)
부동산 플랫폼 업체 ‘직방’이 자체 개발한 메타버스 공간 ‘메타폴리스’
한국에도 전 직원이 메타버스로 출근하는 회사가 있다. 부동산 플랫폼 업체 ‘직방’은 본사를 지난 7월 서울 강남역사거리에서 ‘메타폴리스’로 이전했다. 건물의 외형은 강남의 30층 짜리 본사 사옥과 똑같다. 하지만 이전엔 세들어 살았지만 지금은 건물주다. ‘메타폴리스’는 직방이 자체적으로 개발한 메타버스 공간이다. 더불어민주당이 7개 층을 임대해 사용 중이다. 이곳에서 최고위원회의가 열리기도 한다.
네트워크를 통해 출근한 사무실은 어떤 모습일까. 직방의 프로그램을 설치해 허가된 아이디와 비번을 받아 메타폴리스를 찾아가봤다.
접속하자 가장 먼저 아바타 선택 화면이 뜬다. 마음에 드는 캐릭터를 정하면 원래 본사 건물이 있었던 강남역사거리 빌딩 숲이 나온다. 마우스와 키보드로 아바타를 건물 안으로 이동시키는데 다른 아바타가 엘리베이터를 향해 뛴다. 1분도 걸리지 않는 출근길. 9시에서 9시 반 사이 대부분의 아바타가 출근을 하고 있었다. 메타폴리스는 한 층에서 300명 정도까지 일할 수 있다. 4층과 5층은 사무실, 6층은 라운지다. 이남일 직방 부사장은 “확장성은 무한대”라고 설명한다. 이어 그는 “당장 내일 1000명의 인원을 추가로 고용한다고 해도 바로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https://blog.kakaocdn.net/dn/BxLXg/btrrYSai2QP/AGEVi7kfbTGAvfNWAyLrt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lgWQq/btrrW2dnNM4/cVBQq5lcBex9YeAmjKxSi1/img.jpg)
아바타와 아바타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상대의 실제 얼굴을 볼 수 있는 웹캠과 목소리를 들을 수 있는 마이크가 작동돼 소통할 수 있다. / 유명종PD yoopd@khan.kr
엘리베이터를 타고 5층 사무실에 내리자 수많은 가상 테이블과 회의실에서 아바타들이 근무 중이다. 아바타 머리 위에 직원의 이름과 소속 팀이 떠있다. 아바타와 아바타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상대의 실제 얼굴을 볼 수 있는 웹캠과 목소리를 들을 수 있는 마이크가 작동돼 소통할 수 있다. 팀별로 앉아서 일하는데 옆 사람이 통화하는 소리, 커피 마시는 소리도 현실 사무실과 마찬가지로 다 들을 수 있다. 김태길 사내문화 팀장은 “마이크를 꺼서 소리를 차단할 수도 있고, 일에 집중하려면 카메라도 끌 수 있다. ‘방해금지모드’를 켜서 ‘방해하지 말라’는 표현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메타버스 비긴즈>의 저자이자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이승환 팀장은 직방의 사례가 ‘게임’을 넘어서 ‘경제’로 향한 메티버스의 전형적인 케이스라고 말한다. 그는 “메타버스가 게임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일하는 공간으로 들어왔다”며 “모든 기업군들이 영구 재택근무를 할 수는 없지만 재택 근무 비중은 늘어날 것이다. 메타버스에서 (동료를) 만나는 일이 많아 질 것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대중교통이나 자가용이 아닌 네트워크 망을 타고 출근하는 직원들은 이같은 근무 시스템을 어떻게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https://blog.kakaocdn.net/dn/cXD9Jg/btrr0AfFObe/Hn6h28aTv4iEDG5Y1nrgnk/img.jpg)
서울 지하철 9호선 객차에 출근길 승객들로 가득 차 있다. 경향신문 자료사진. / 정지윤기자
지하철로 왕복 2시간씩 출퇴근을 했던 직방의 신현식 CR팀 직원은 “지옥철로 불리는 9호선으로 이동하며 괴로웠는데 지금은 너무 편하다. 두 시간이 온전히 나의 시간이 된 것은 돈으로 환산할 수 없이 값지다”고 말했다. 지방에서 면접을 보기 위해 서울까지 와야 했던 지원자들의 편의성도 높아졌다. 면접과 입사 후 교육도 ‘메타폴리스’에 이뤄지기 때문이다. 채용을 담당하는 최동한 리쿠르터는 “비대면이다 보니 (채용 과정의) 부정행위의 우려도 있지만 지엽적인 문제이고 장점이 많다”며 “다양한 국내 지역은 물론 해외 거주자도 면접을 보고 입사한다. 지역에 제한 없이 우수한 인재를 채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메타버스 근무가 국가 균형발전에도 도움이 된다는 시각도 있다. 여선웅 커뮤니케이션실 부사장은 “한국은 서울 집중이 사회적 문제”라며 “메타폴리스와 같은 공간이 많아지면 직장 때문에 굳이 서울로 올라오지 않아도 된다”고 말했다.
새로운 문화 될까, 메타버스 집회 가보니
“메타버스 집회가 물리적으로 먼 국제 이슈에서 현지인들과 연결고리를 만들 수 있죠. 미국의 조지 플로이드 사망 사건, 홍콩의 송환법 반대, 기후위기 같은 문제에서 말이에요. 전 세계인이 메타버스 공간에 자신의 아바타를 보내서 문제의식에 대한 공감을 표현하고 목소리도 밸 수 있지 않을까요.”
게임이나 소비 등을 위한 것이라고만 인식됐던 가상공간은 메타버스가 본격적으로 형성되면서 기능이 확장되고 있다. 출근하고 일하며, 친구를 사귀고 이제는 집회도 열린다. 문화연대가 지난 7월 타투 합법화를 촉구하는 집회, ‘내눈썹이불법이라니’를 국내 처음으로 메타버스에서 개최한 데 이어 민주노총도 지난 17일 청년노동자집회를 메타버스에서 진행했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감염병 확산 우려에 따라 도심 등지에 모여 이뤄지는 ‘현실 집회’가 제한되자 대안으로 마련된 자리였다. 메타버스는 집회의 ‘뉴노멀’이 될 수 있을까.
![](https://blog.kakaocdn.net/dn/bh7FXk/btrrULQ6agk/4JUKdBPO3ksKA9C4YxwIGK/img.jpg)
지난 17일 제페토 앱의 메타버스 공간에서 열린 민주노총 청년노동자집회 화면. 아바타들이 집회 문화행사의 일환으로 무대에서 춤을 추고 있다. / 유명종PD yoopd@khan.kr
![](https://blog.kakaocdn.net/dn/bHeuLd/btrr0zgPJmp/JeDJ0LStScvTb0UKlK9Tfk/img.jpg)
지난 17일 제페토 앱의 메타버스 공간에서 열린 민주노총 청년노동자집회에 참석하기 전 아바타에 조끼와 빨간 머리 띠, 피켓을 장착하고 있다. / 유명종PD yoopd@khan.kr
민주노총 청년노동자집회는 제페토 앱의 메타버스 공간에서 진행됐다. 아바타에 노동조합 조끼를 입히고 빨간 머리띠를 두른 후 피켓을 장착한 뒤 앱에 접속하자 같은 조끼와 머리띠를 두른 아바타들이 보였다. 집회 장소로 이동하는 길에는 ‘인증샷’을 남길 수 있는 부스, 산재로 사망한 청년노동자를 애도하는 추모 공간 등이 마련돼 있었다. 집회가 열리는 무대 앞에선 노래에 맞춰 아바타들이 춤을 추고 있었다. 최승혁 공무원노조 청년위원장은 이날 집에서 집회에 참가했다. “그동안 집회에 한 번도 나오지 못했던 조합원들도 부담감 없이 참여할 수 있어서 좋았다고 합니다. 오프라인 집회라면 춤추고 노래하는 것이 쑥스러울 수도 있을 텐데 다들 적극적으로 행동하더라고요. 집회는 현실에서와 똑같이 민중의례를 시작으로 선언문을 낭독하고 구호도 외치며 다 같이 행진도 했죠.”
![](https://blog.kakaocdn.net/dn/XIzVP/btrrV85SoKO/VkDEywYwfe7EyYpcbGjkxK/img.jpg)
지난 7월 16일 티슈 오피스‘ 히든오더’ 앱에서 열린 ‘내눈썹이불법이라니’ 집회 / 제공 ‘티슈 오피스 Tissue Office’
![](https://blog.kakaocdn.net/dn/oVpVU/btrr0rXz5mw/xbAjfcaFcSJ4AfX8oppqB0/img.jpg)
지난 7월 16일 티슈 오피스 ‘히든오더’ 앱에서 열린 ‘내눈썹이불법이라니’ 집회. 참가자들이 집회를 마치고 아바타를 이용해 행진하고 있다 / 제공 ‘티슈 오피스 Tissue Office’
메타버스 집회 기획 담당자들은 물리적 거리두기에도 불구하고 참여할 수 있는 장을 마련했다는 측면에서 만족한다는 입장이다. ‘내눈썹이불법이라니’ 집회를 기획한 신영은 문화연대 활동가는 “코로나19로 인한 여러 가지 시도 중에 하나”라며 “‘유튜브’나 ‘줌’으로 집회를 할 때도 ‘일방향적’이라는 생각을 했지만 메타버스에선 참가자 아바타들이 같은 아이템을 장착했고 ‘점프’ 등의 동작들을 통해 ‘참여하고 있다’는 인상을 느낌을 더 받았다”고 말했다. 청년노동자집회를 기획한 연미림 민주노총 청년사업실장은 “쓰레기가 발생하거나 교통정체를 유발하는 등의 잡음 없이 깔끔하게 집회를 할 수 있었던 것이 좋았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대면하지 않는 집회의 한계는 분명하다. 집회 참가 아바타들과 인터뷰를 할 때도 목소리가 울리거나 끊겨서 소통이 원활하진 않았다. 제페토의 경우 최대 참가자가 16명까지여서 그룹을 나눠 집회를 진행하기도 한다. 신영은 활동가는 “현장 집회는 이슈가 터지면 당장 내일이라도 열 수 있는데 메타버스 집회는 기술적인 준비가 필요하다”며 “비용과 시간이 현장 집회보다 많이 발생한다”고 말했다. 한 민주노총 간부는 메타버스 공간에서 길을 잃어 일곱 살 조카의 도움으로 집회 장소를 찾아갈 수 있었다고 했다. 기기 사용에 대한 지식과 모바일이나 컴퓨터 사용 환경이 갖춰져 있어야 한다는 접근성에 문제도 있다.
이장희 창원대 법학과 교수는 현장에서 오감을 통해 서로 느끼고 공감할 기회를 마련하는 집회의 취지를 메타버스가 완벽하게 구현하지는 못한다고 지적한다. “단순히 의사를 전달하거나 ‘사람들이 모였다’는 수준에 집회로 그치는 아쉬움도 있습니다. 집회는 보통 항의하는 대상이 보이고 들리는 가까운 곳에서 이루어지죠. 메타버스는 대상과 상관없이 동떨어진 곳에서 열리다 보니까 참여하지 않으면 듣지 못하게 돼버립니다.”
특히 이 교수는 “사람들이 만나지 않는 집회가 일상화되고 고착화되는 것을 경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메타버스 집회는 오프라인 집회의 보완적인 수단이라는 것이다. 연미림 청년사업실장 역시 “오프라인 집회를 대체할 수 있다고는 생각하지는 않는다”고 말한다.
“광화문이나 청와대 앞이 아닌 메타버스 공간이 ‘과연 위력적인가’라는 부분에선 의문이 들죠.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참가해 언론에 보도되고 여론이 형성된다면 같은 효과가 생길 수 있다고 봅니다. 시대 변화에 맞춰 더 많은 노동자들의 목소리가 나올 수 있는 방법이 다양화됐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