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3년 사회조사 결과’에 따르면 조사대상인 우리나라 국민 3만8000명 중 절반(46.7%) 정도가 소득, 직업, 교육, 재산 수준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과 “자신은 하류층에 속한다”고 대답했다. 중산층이라고 답한 사람은 51.4%, 상류층에 속한다고 말한 사람은 1.9%에 불과했다. 경기침체가 장기화되면서 중간계층이라고 답한 사람 수는 줄어드는 반면 스스로를 하위층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늘어가고 있다.
이와 같은 계층 간의 체감 빈부격차를 수치로 계산한 지표가 있다. 국민의 생활 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일반적으로 1인당 GDP 지표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이는 전체 GDP를 국민 수로 나눈 것이어서 소득계층에 따라 얼마나 소득을 분배받고 있는지 알 수 없다. 대신 ‘지니계수’와 ‘로렌츠곡선’을 통해 계층간 부의 편중 정도를 정확히 알 수 있다.
‘지니계수’(Gini coefficient)란 국민들의 빈부격차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로 이탈리아의 통계학자인 코라도 지니(Corrado Gini)가 1912년 만들어냈다. 지수는 0~1 사이로 나오는데 숫자가 작을수록 평등한 소득분배를 의미하고 숫자가 1에 가까울수록 소득분배가 불평등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니계수는 평상시 소득 상황으로 집계를 내야하기 때문에 소득의 편차가 클 수 있는 분기나 월 단위로 계산하지 않고 1년 주기로 작성한다.
지난달 통계청·금융감독원·한국은행이 함께 낸 ‘2013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를 보면 가계금융 및 복지조사를 바탕으로 산출한 우리나라의 작년 지니계수는 0.353(가처분소득 기준)으로 나타났다. 우리의 소득분배 불평등도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4개 나라들 가운데 6위를 기록했다. 우리나라 국민 사이에서 각자가 벌어들이는 소득은 계층에 따라 격차가 크다는 뜻이다. 당시 OECD 회원국 평균치는 0.314였다. 지니계수가 1에 가까운 나라일수록 한 나라 안에 사는 국민의 경제수준이 부유한 쪽과 빈곤한 쪽으로 극명히 갈린다고 해석하면 된다. 일반적으로 지니계수가 0.4를 넘으면 소득불평등이 심한 것으로 평가한다.
한편 한 나라 안에서 소득불평등을 그래프로 보여주는 지표도 있다. ‘로렌츠 곡선’(Lorenz curve)은 국민들의 소득 편차정도를 나타낸 소득 분배 곡선이다. 가로축은 소득별 누적 인구수를 나타내며 가장 왼쪽 부분은 소득하위 10%, 가장 오른쪽은 소득상위 10% 그룹을 뜻한다. 로렌츠 곡선의 세로축은 한 계층이 벌어들이는 소득이 국민 전체 소득에서 차지하는 누적비율을 말한다.
로렌츠 곡선. A 부분이 클수록 한 나라 계층간의 소득 불평등이 심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니계수는 로렌츠곡선에서 보이는 면적A를 면적B 로 나눠서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하위 10% 그룹에 속하는 사람들이 우리나라 국민 전체가 벌어들이는 소득의 10%를 벌고 소득 최상위 10% 그룹도 같은 비율로 돈을 벌고 있다면 소득분배가 완전히 평등한 사회를 말한다. 이때 로렌츠 곡선은 완전평등선을 의미하는 우상향 대각선의 모양을 그리게 된다. 지니계수의 경우는 이론상으로 숫자가 ‘0’이 나온다. 반대로 최하위10% 그룹이 벌어들이는 소득이 전체 국민의 누적소득 중 1%를 벌어들이고 최상위 10% 그룹이 누적소득의 99%를 벌어들인다면 로렌츠 곡선은 활처럼 휘어진 상태로 그려진다. 완전평등선인 대각선과 활처럼 휘어진 불평등선 사이에 있는 반달 모양 부분의 면적(A)이 넓을수록 계층 간 소득격차가 큰 나라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지니계수는 이 경우 A부분의 면적을 B로 나누면 구할 수 있다.
그러나 지니계수로 나오는 수치가 같더라도 로렌츠 곡선의 형태가 다르다면 나라마다 느끼는 체감 불평등은 다르다는 점을 기억해야한다. 가령 한 나라는 중산층과 빈곤층간의 격차가 크지 않지만 중산층과 상류층의 격차가 큰 반면 또다른 나라는 경우 중산층과 상류층의 경제수준은 비슷한데 하류층과의 격차가 크다면 두 나라는 지니계수가 같게 측정되더라도 국민들의 체감 불평등도는 다를 것이다. 이 같은 이유 때문에 소득 10분위 분배율이나 소득 5분위 분배율 등과 함께 양극화 현상을 살필 수도 있다.